피톤치드와 편백나무(히노끼)
운영자
2
3153
2017.11.09 14:55
피톤치드란?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plant(식물)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killer(살인자)를 합성한 말이다.
숲속에 들어갔을때 상쾌한 냄새가 숲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이 방향 물질은 식물이 주위의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발산하고 있는 자기 방어 물질인 피톤치드이다.
이와 같이 피톤치드가 주목을 끄는 것은 자신을 위협하는 각종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게는 킬러의 역할이지만
인간에게는 도리어 이롭게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모든 수목은 피톤치드를 발산합니다. 그러나 각각의 나무가 분사하는 피톤치드의 양은 물론이고,
피톤치드의 성질과 특성 또한 모두 다르며 기능면에서도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침엽수에서 유독 많은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이런 추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침엽수는 흔히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란다고 말합니다. 이를 역으로 생각하면 척박한 환경에서 자라야 하는 침엽수는
한정된 양분을 남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더욱 강력한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을 위협하는 미생물에 대해 더욱 단호하게 대처함은 물론, 주위에서 다른 나무들이 번식하는 것도 극력 억제할 것입니다.
더욱이 침엽수는 낙엽이 적어 부엽토도 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항상 알뜰하게 자기 보존 메카니즘을 가동해야 합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다량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침엽수종 사이에도 피톤치드 발생량은 차이가 있습니다.
침엽수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나무는 소나무와 잣나무인데, 피톤치드의 발생량은 잣나무가 우위에 있습니다.
소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있지만 잣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잣나무에서 발생시키는 피톤치드가 소나무의 피톤치드보다 더욱 강하고 분사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피톤치드가 주위에 있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입니다.
소나무, 잣나무와 더불어 우리는 피톤치드 발생량에서 훨씬 뛰어난 침엽수종을 주목하게 됩니다.
바로 편백나무가 효과 측면에서 자장 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plant(식물)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killer(살인자)를 합성한 말이다.
숲속에 들어갔을때 상쾌한 냄새가 숲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이 방향 물질은 식물이 주위의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발산하고 있는 자기 방어 물질인 피톤치드이다.
이와 같이 피톤치드가 주목을 끄는 것은 자신을 위협하는 각종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게는 킬러의 역할이지만
인간에게는 도리어 이롭게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모든 수목은 피톤치드를 발산합니다. 그러나 각각의 나무가 분사하는 피톤치드의 양은 물론이고,
피톤치드의 성질과 특성 또한 모두 다르며 기능면에서도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침엽수에서 유독 많은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이런 추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침엽수는 흔히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란다고 말합니다. 이를 역으로 생각하면 척박한 환경에서 자라야 하는 침엽수는
한정된 양분을 남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더욱 강력한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을 위협하는 미생물에 대해 더욱 단호하게 대처함은 물론, 주위에서 다른 나무들이 번식하는 것도 극력 억제할 것입니다.
더욱이 침엽수는 낙엽이 적어 부엽토도 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항상 알뜰하게 자기 보존 메카니즘을 가동해야 합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다량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침엽수종 사이에도 피톤치드 발생량은 차이가 있습니다.
침엽수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나무는 소나무와 잣나무인데, 피톤치드의 발생량은 잣나무가 우위에 있습니다.
소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있지만 잣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잣나무에서 발생시키는 피톤치드가 소나무의 피톤치드보다 더욱 강하고 분사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피톤치드가 주위에 있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입니다.
소나무, 잣나무와 더불어 우리는 피톤치드 발생량에서 훨씬 뛰어난 침엽수종을 주목하게 됩니다.
바로 편백나무가 효과 측면에서 자장 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